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8

냄비, 남비

조회 수 1345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냄비, 남비

성탄절이 가까워 오던 18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셉 맥피라는 구세군 사관은 재난을 당한 1000여 도시 빈민을 먹여 살릴 궁리를 하다 집안에서 사용하던 큰 솥을 들고 나가 거리에 내걸고 도움을 호소한다. 1928년 12월 15일 서울.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던 박준섭은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시작한다. 성탄절을 앞두고 거리에 울려 퍼지는 자선의 종소리는 지나는 사람들의 가슴을 데우며 사랑의 손길을 내밀게 했다. 이 냄비는 오래도록 '자선남비'로 불렸다. 과거에는 '남비'가 일본어 '나베(鍋)'에서 온 말이라 하여 원형을 의식해 '남비'로 표기했으나 1988년 규정을 개정하면서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냄비'를 표준어로 삼았다. '서울나기' '풋나기' 등 '-나기'도 '-내기'로 함께 바뀌었다. 구세군 '자선남비' 역시 '자선냄비'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그러나 아직도 '자선남비'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올해 자선냄비는 24일로 거리 활동을 마감했지만, 경기침체와 몇 년 만의 한파로 불우이웃들에겐 어느 해보다 도움이 절실한 겨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21
2006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85
2005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830
2004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39
2003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82
2002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00
2001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83
2000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89
1999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73
1998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4
1997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0
1996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78
199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75
1994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48
1993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1
1992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93
1991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03
1990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93
1989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89
1988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86
1987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704
198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890
1985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