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8

냄비, 남비

조회 수 1347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냄비, 남비

성탄절이 가까워 오던 18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셉 맥피라는 구세군 사관은 재난을 당한 1000여 도시 빈민을 먹여 살릴 궁리를 하다 집안에서 사용하던 큰 솥을 들고 나가 거리에 내걸고 도움을 호소한다. 1928년 12월 15일 서울.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던 박준섭은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시작한다. 성탄절을 앞두고 거리에 울려 퍼지는 자선의 종소리는 지나는 사람들의 가슴을 데우며 사랑의 손길을 내밀게 했다. 이 냄비는 오래도록 '자선남비'로 불렸다. 과거에는 '남비'가 일본어 '나베(鍋)'에서 온 말이라 하여 원형을 의식해 '남비'로 표기했으나 1988년 규정을 개정하면서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냄비'를 표준어로 삼았다. '서울나기' '풋나기' 등 '-나기'도 '-내기'로 함께 바뀌었다. 구세군 '자선남비' 역시 '자선냄비'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그러나 아직도 '자선남비'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올해 자선냄비는 24일로 거리 활동을 마감했지만, 경기침체와 몇 년 만의 한파로 불우이웃들에겐 어느 해보다 도움이 절실한 겨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51
310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23
3105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719
3104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715
3103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14
3102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707
310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696
3100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93
3099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70
3098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57
3097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619
3096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618
3095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616
3094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14
3093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590
3092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77
309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575
3090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71
3089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570
3088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570
3087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568
3086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525
3085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