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4 18:48

한 가닥 하다

조회 수 1054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 가닥 하다

연말 모임이 시작됐다. 친구끼리 오랜만에 모이면 으레 옛이야기가 등장하게 마련이다. 얘기를 주고받다 보면 '나도 옛날에는 한 가닥 했어'라며 지난 일을 장황하게 늘어 놓기 일쑤다. 흔히 과거에는 나도 남부럽지 않게 어떤 일을 했다고 내세울 때 이처럼 '나도 한 가닥 했어'라고 말하지만 '나도 한가락 했어'가 맞는 표현이다.

'한 가닥'은 두 단어가 결합한 관용적 표현으로 '한 가닥 희망이 보인다' '한 가닥 기대를 걸어 보는 수밖에 없다'처럼 '아주 약간'이란 뜻으로 쓰인다. 따라서 '나도 한 가닥 했어'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과거에 남 못지않게 활약했다는 뜻으로는 '한 가닥'이 아니라 '한가락'이란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한가락'은 '소리 한가락 뽑아 보세'처럼 노래나 소리의 한 곡조라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왕년에 누구는 한가락 안 해 본 줄 아나'와 같이 어떤 방면에서 썩 훌륭한 재주나 솜씨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친구끼리 모여앉아 '나도 한가락 했어'라며 서로 지기 싫어하는 모습에서 세월의 흐름에 대한 아쉬움이 묻어나기도 하지만, 옛이야기는 언제나 포근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25
2402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240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65
2400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63
2399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61
2398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457
2397 와중 바람의종 2010.11.05 10457
2396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53
2395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53
2394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450
2393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448
2392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47
2391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46
2390 영락없다 바람의종 2007.05.18 10444
2389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35
2388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4
2387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33
2386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32
2385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28
2384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24
2383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422
2382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8
2381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