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4 18:48

한 가닥 하다

조회 수 1056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 가닥 하다

연말 모임이 시작됐다. 친구끼리 오랜만에 모이면 으레 옛이야기가 등장하게 마련이다. 얘기를 주고받다 보면 '나도 옛날에는 한 가닥 했어'라며 지난 일을 장황하게 늘어 놓기 일쑤다. 흔히 과거에는 나도 남부럽지 않게 어떤 일을 했다고 내세울 때 이처럼 '나도 한 가닥 했어'라고 말하지만 '나도 한가락 했어'가 맞는 표현이다.

'한 가닥'은 두 단어가 결합한 관용적 표현으로 '한 가닥 희망이 보인다' '한 가닥 기대를 걸어 보는 수밖에 없다'처럼 '아주 약간'이란 뜻으로 쓰인다. 따라서 '나도 한 가닥 했어'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과거에 남 못지않게 활약했다는 뜻으로는 '한 가닥'이 아니라 '한가락'이란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한가락'은 '소리 한가락 뽑아 보세'처럼 노래나 소리의 한 곡조라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왕년에 누구는 한가락 안 해 본 줄 아나'와 같이 어떤 방면에서 썩 훌륭한 재주나 솜씨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친구끼리 모여앉아 '나도 한가락 했어'라며 서로 지기 싫어하는 모습에서 세월의 흐름에 대한 아쉬움이 묻어나기도 하지만, 옛이야기는 언제나 포근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78
2380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53
237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54
237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61
2377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61
237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61
2375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2374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62
2373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69
2372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70
2371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2
2370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74
2369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77
2368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78
2367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78
2366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78
2365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80
2364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82
2363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83
2362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2361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1
2360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91
2359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3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