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23 03:13

목재가구 / 목제가구

조회 수 1321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목재가구 / 목제가구

한자 '재(材)'는 '나무(木)를 잘라내(才) 만든 재목'이란 의미를 가진 글자이고, '제(製)'는 '칼로 나뭇가지를 쳐서 잘라낸다(制)'와 '옷을 만들다(衣)'는 뜻이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다. '재'와 '제'가 들어간 단어는 '목재/목제' '철재/철제'처럼 실생활에서 자주 쓰인다. 그러나 둘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자칫 나무를 재료로 만든 의자라는 뜻으로 '목재 의자'라는 표현을 쓰기 쉬운데 이때는 '목제 의자'가 맞다.

'재'는 '가구재' '건축재' '한약재'와 같이 앞에 나온 단어가 가리키는 곳에 쓰이는 재료를 나타낸다. 다른 말을 수식하는 형태를 취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제'는 '강철제' '플라스틱제'처럼 재료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그것으로 만들어진 것'이란 의미를 더하는 말이다. '그 집 대문은 철제다'와 같이 다른 단어를 수식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주로 '목제 인형' '철제 가구'처럼 뒤에 나오는 제품의 재질을 표현한다. 따라서 나무로 만든 가구도 '목제 가구'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24
2490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71
2489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55
2488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8
2487 옹알이 風文 2021.09.03 1290
2486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03
2485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8
2484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1
2483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56
2482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722
2481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382
2480 옴시레기 file 바람의종 2010.01.10 7175
2479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20
24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9
247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59
2476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50
2475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2
2474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4
2473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263
2472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2
2471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345
2470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590
2469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10.10.13 110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