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19 15:09

모기버섯, 봉양버섯

조회 수 13701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기버섯, 봉양버섯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만찬에서 사용된 건배주가 애주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술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누룩이 아니라 상황버섯의 균사체가 당을 분해해 알코올을 만드는 방식으로 제조됐으며, 뒤끝이 깨끗하다고 한다.

버섯과 관련해 인터넷을 항해하다 보면 잡채 등 중국요리에 많이 사용되는 갈색 버섯을 '모기버섯'이라고 쓰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목이(木耳)버섯'이 바른 표현이다. 경북 북부나 북한에서는 '흐르레기'라고 하기도 한다. 이 버섯은 뽕나무.말오줌나무 따위의 죽은 줄기에 잘 돋아나는데 말랑말랑하고 탄력이 있어 귀를 닮았다. 그래서 '목이'란 이름이 꼭 들어맞는다. 한방에서는 치질.적리 등에 약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 하나, 땅속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茯笭)'이라는 버섯이 있는데 이것도 발음 때문에 '봉양'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이 버섯은 공처럼 생겼으며 역시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52
1918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36
1917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8
191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339
191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39
1914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41
1913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8
1912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351
1911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53
19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55
190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356
1908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66
190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69
1906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73
1905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3
190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78
1903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383
1902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4
1901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90
1900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91
1899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93
1898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1897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