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84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닐리리, 하니바람, 띠어쓰기, 무니

탱고.맘보.차차차.삼바 등 라틴음악의 리듬은 이제 우리에게도 친숙하다. 인기를 끄는 요즘 노래 중에도 이런 리듬의 곡이 적지 않다. 특히 1950년대 중반 맘보 열풍을 타고 유행했던 '닐리리 맘보'는 지금도 자주 불리는 노래다.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 맘보/ 〃/ 정다운 우리 님 닐리리 오시는 날에/ 원수의 비바람 닐리리 비바람 불어온다네….' 이처럼 노랫말에는 소리 나는 대로'닐리리'라 적혀 있는 곳이 많다.

하지만 '닐리리'는 '늴리리'로 표기해야 한다. 소리를 흉내 낸 말이라 해서 마음대로 적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늴리리'는 퉁소.나발.피리 따위의 관악기 소리를 흉내 낸 것이다.

맞춤법은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닐리리'는 '늴리리'로 적어야 한다. '늴리리'처럼 발음을 따라 잘못 적기 쉬운 단어로는 하늬바람(×하니바람), 띄어쓰기(×띠어쓰기), 무늬(×무니), 닁큼(×닝큼)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87
1918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94
1917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96
1916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96
1915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298
1914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300
1913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302
1912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07
1911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09
1910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1909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17
190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19
190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9
1906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20
1905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1904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3
190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902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4
1901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25
1900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26
1899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26
1898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328
1897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