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8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겨우내 쌓아 둔 긴긴 얘기를 뱉어내듯 수다스럽게 피는 개나리, 땅속 더부살이 시절 설움을 토악질하듯 울어대는 매미, 성장의 고통을 게우고 단단한 열매로 선 이삭, 가슴의 멍울을 내뱉고 하얗게 웃는 첫눈…. 계절은 모든 걸 비우며 또 한해를 돌아가고 있다. 시인들도 즐겨 사용하는 '뱉다'란 말은 '입속에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보내다' '말 따위를 함부로 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시여, 침을 뱉어라" "내 무덤에 침을 뱉아라" 등 '뱉아/뱉어, 뱉았다/뱉었다, 뱉아내다/뱉어내다'로 제각각 쓰고 있다.

대개 양성모음(ㅏ,ㅑ, ㅗ, ㅛ, ㅐ)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ㅕ, ㅜ, ㅠ, ㅣ)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므로 '뱉아, 뱉았다, 뱉아내다'로 활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뱉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뱉어, 뱉었다, 뱉어내다'라고 써야 한다. '뺏다' '맺다'도 마찬가지로 '뺏어''맺어' 등으로 활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43
189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65
189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55
189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5
1893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1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53
1891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151
1890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9
1889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88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46
1887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45
1886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42
1885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84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37
1883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35
188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34
1881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1880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24
1879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23
1878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23
187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21
1876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21
1875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