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겨우내 쌓아 둔 긴긴 얘기를 뱉어내듯 수다스럽게 피는 개나리, 땅속 더부살이 시절 설움을 토악질하듯 울어대는 매미, 성장의 고통을 게우고 단단한 열매로 선 이삭, 가슴의 멍울을 내뱉고 하얗게 웃는 첫눈…. 계절은 모든 걸 비우며 또 한해를 돌아가고 있다. 시인들도 즐겨 사용하는 '뱉다'란 말은 '입속에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보내다' '말 따위를 함부로 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시여, 침을 뱉어라" "내 무덤에 침을 뱉아라" 등 '뱉아/뱉어, 뱉았다/뱉었다, 뱉아내다/뱉어내다'로 제각각 쓰고 있다.

대개 양성모음(ㅏ,ㅑ, ㅗ, ㅛ, ㅐ)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ㅕ, ㅜ, ㅠ, ㅣ)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므로 '뱉아, 뱉았다, 뱉아내다'로 활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뱉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뱉어, 뱉었다, 뱉어내다'라고 써야 한다. '뺏다' '맺다'도 마찬가지로 '뺏어''맺어' 등으로 활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0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97
2490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70
2489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751
2488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4
2487 옹알이 風文 2021.09.03 1217
2486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097
2485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8
2484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2
2483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41
2482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685
2481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342
2480 옴시레기 file 바람의종 2010.01.10 7172
2479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10
24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0
247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25
2476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136
2475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20
2474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8
2473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124
2472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7
2471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185
2470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514
2469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10.10.13 110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