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5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겨우내 쌓아 둔 긴긴 얘기를 뱉어내듯 수다스럽게 피는 개나리, 땅속 더부살이 시절 설움을 토악질하듯 울어대는 매미, 성장의 고통을 게우고 단단한 열매로 선 이삭, 가슴의 멍울을 내뱉고 하얗게 웃는 첫눈…. 계절은 모든 걸 비우며 또 한해를 돌아가고 있다. 시인들도 즐겨 사용하는 '뱉다'란 말은 '입속에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보내다' '말 따위를 함부로 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시여, 침을 뱉어라" "내 무덤에 침을 뱉아라" 등 '뱉아/뱉어, 뱉았다/뱉었다, 뱉아내다/뱉어내다'로 제각각 쓰고 있다.

대개 양성모음(ㅏ,ㅑ, ㅗ, ㅛ, ㅐ)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ㅕ, ㅜ, ㅠ, ㅣ)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므로 '뱉아, 뱉았다, 뱉아내다'로 활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뱉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뱉어, 뱉었다, 뱉어내다'라고 써야 한다. '뺏다' '맺다'도 마찬가지로 '뺏어''맺어' 등으로 활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52
2490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63
2489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2488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597
2487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16
2486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11
2485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854
2484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9
2483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595
2482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53
2481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70
2480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37
2479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18
2478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74
2477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842
2476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06
2475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617
2474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4
2473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15
2472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61
2471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276
2470 바다가재, 바닷가재 바람의종 2010.07.21 11754
2469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9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