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9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겨우내 쌓아 둔 긴긴 얘기를 뱉어내듯 수다스럽게 피는 개나리, 땅속 더부살이 시절 설움을 토악질하듯 울어대는 매미, 성장의 고통을 게우고 단단한 열매로 선 이삭, 가슴의 멍울을 내뱉고 하얗게 웃는 첫눈…. 계절은 모든 걸 비우며 또 한해를 돌아가고 있다. 시인들도 즐겨 사용하는 '뱉다'란 말은 '입속에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보내다' '말 따위를 함부로 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시여, 침을 뱉어라" "내 무덤에 침을 뱉아라" 등 '뱉아/뱉어, 뱉았다/뱉었다, 뱉아내다/뱉어내다'로 제각각 쓰고 있다.

대개 양성모음(ㅏ,ㅑ, ㅗ, ㅛ, ㅐ)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ㅕ, ㅜ, ㅠ, ㅣ)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므로 '뱉아, 뱉았다, 뱉아내다'로 활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뱉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뱉어, 뱉었다, 뱉어내다'라고 써야 한다. '뺏다' '맺다'도 마찬가지로 '뺏어''맺어' 등으로 활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43
1918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36
1917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8
191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339
191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39
1914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41
1913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48
1912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8
1911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351
19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55
190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356
1908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66
190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69
1906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73
1905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3
190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78
1903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383
1902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4
1901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90
1900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91
1899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93
1898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1897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