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56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겨우내 쌓아 둔 긴긴 얘기를 뱉어내듯 수다스럽게 피는 개나리, 땅속 더부살이 시절 설움을 토악질하듯 울어대는 매미, 성장의 고통을 게우고 단단한 열매로 선 이삭, 가슴의 멍울을 내뱉고 하얗게 웃는 첫눈…. 계절은 모든 걸 비우며 또 한해를 돌아가고 있다. 시인들도 즐겨 사용하는 '뱉다'란 말은 '입속에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보내다' '말 따위를 함부로 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시여, 침을 뱉어라" "내 무덤에 침을 뱉아라" 등 '뱉아/뱉어, 뱉았다/뱉었다, 뱉아내다/뱉어내다'로 제각각 쓰고 있다.

대개 양성모음(ㅏ,ㅑ, ㅗ, ㅛ, ㅐ)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ㅕ, ㅜ, ㅠ, ㅣ)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므로 '뱉아, 뱉았다, 뱉아내다'로 활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뱉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뱉어, 뱉었다, 뱉어내다'라고 써야 한다. '뺏다' '맺다'도 마찬가지로 '뺏어''맺어' 등으로 활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2798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280
2797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281
2796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82
2795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85
2794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286
2793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87
2792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2791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07
2790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10
2789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13
2788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15
2787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315
2786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17
2785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21
2784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22
2783 (밤)참 風磬 2006.11.30 6322
2782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2781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2780 살림 風磬 2006.12.26 6334
2779 바람의종 2008.07.28 6335
2778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40
2777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