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12 19:39

흡인력, 흡입력

조회 수 15931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흡인력, 흡입력

문학 작품을 읽는 독자들은 작가의 문체나 구성이 어떠하길 바랄까. 여러 가지 측면이 있을 것이고 개인차도 있겠지만, 아마도 한번 책을 집어 들면 도저히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강력하게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을 최고로 쳐주지 않을까 싶다.

어떤 것을 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일과 관련해 '흡입(吸入)'과 '흡인(吸引)'을 사용할 때는 틀리지 않게 잘 쓰다가도 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힘[力]과 관련해서는 '흡인력'과 '흡입력'을 혼동해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 진공청소기는 미세 먼지 흡인력이 아주 강하다'와 '이 소설은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입력이 부족한 편이다'를 보자. 기체나 액체 따위를 빨아들이는 힘은 '흡인력'이 아니라 '흡입력'이라고 해야 옳다. 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끌어당기는 힘은 '흡입력'이 아니라 '흡인력'이라고 해야 한다.

따라서 '미세 먼지 흡인력'은 '미세 먼지 흡입력'으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입력'은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인력'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36
1918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25
1917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31
191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332
191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32
1914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36
1913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7
1912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38
1911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340
1910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3
1909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48
1908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353
1907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56
1906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359
1905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365
1904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65
1903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66
1902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67
1901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67
1900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69
1899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3
1898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77
1897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