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10 15:20

깍두기, 짠지, 섞박지

조회 수 1146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두기, 짠지, 섞박지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발견된 데 이어 일부 국산 김치에서도 이물질이 발견되는 바람에 사 먹는 김치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이에 따라 올해는 집에서 김장을 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배추 가격도 벌써 많이 올랐다고 한다. 올해는 잘못하면 김치가 아니라 금치를 담그게 될지도 모르겠다.

김치와 관련해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몇몇 있다. 김치는 포기 전체나 포기를 반으로 갈라서 담그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배추를 절인 다음 썰어서 담그는 것도 있다. 배추와 무.오이를 절여 넓적하게 썬 다음, 여러 양념에 젓국을 쳐서 한데 버무려 담은 뒤 조기젓 국물을 약간 부어서 익힌 김치를 흔히 '석박지'라고 적는다. 그러나 이것은 '섞박지'라고 쓰는 게 맞다.

그리고 일부 지방에서는 배추김치를 일러 '짠지'라고 부르는데 표준어에서 짠지는 '무를 통째로 소금에 짜게 절여서 묵혀 두고 먹는 김치'를 말한다. 배추와는 관련이 없다. 또한 무를 작고 네모나게 썰어서 소금에 절인 후 고춧가루 따위의 양념과 함께 버무려 만든 김치를 '깎두기'라고 쓰는 이들이 많지만 이것도 '깍두기'로 쓰는 게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28
2490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21
2489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464
2488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25
2487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17
2486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62
2485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14
248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54
2483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339
2482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74
2481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3
2480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69
2479 잊다, 잃다 바람의종 2009.11.23 12370
2478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193
2477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592
2476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66
2475 대통령님께서 바람의종 2009.11.19 6680
247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39
2473 닐리리, 하니바람, 띠어쓰기, 무니 바람의종 2009.11.15 11555
2472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37
2471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2
2470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13
24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