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5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다음 중 맞는 말을 고르세요. ㉠각둑이 ㉡깍둑이 ㉢깍뚜기 ㉣깍두기 '깍둑거리다'를 생각하면 '깍둑이'가 될 것 같기도 하고, 발음을 따르면 '깍뚜기'가 될 듯도 해 헷갈리지만 답은 '깍두기'다. '깍두기'는 무를 네모나게 썰어 만든 김치를 말한다.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단어는 어근과 접미사 '-이'가 결합해 '길쭉이(길쭉하다)' '쌕쌕이(쌕쌕거리다)' 등이 된다. 이 경우 어근이 그대로 살아 있어 표기하기가 쉽다. 그러나 맞춤법은 이와 달리 '깍두기'가 개구리.기러기.뻐꾸기.얼루기 등처럼 원말인 '깍둑거리다'에서 멀어져 본뜻이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서 혼란이 오는 것이다.

'깍두기'를 소리 나는 대로 '깍뚜기'로 적지 않는 것은 'ㄱ' 'ㅂ' 받침 다음에선 국수[국쑤].갑자기[갑짜기] 등처럼 어차피 된소리로 발음하게 돼 있기 때문이다. '깍두기'는 어느 쪽에도 끼지 못하는 사람이나 그런 신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미숙한 관리와 처리로 김치 이미지를 실추시킨 행정 당국도 깍두기 신세가 될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57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77
189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28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180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84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7999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86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30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25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40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38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08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47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76
18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43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14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24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495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26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1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0983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