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9 01:40

임마, 상판때기

조회 수 964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마, 상판때기

사람에게는 첫인상이 무척 중요하다. 매번 입사시험에서 낙방하는 친구가 면접시험을 앞두고 후줄근한 모습으로 시험장에 들어가려고 하자 옆에 있던 친구가 '야 '임마', 그런 '상판때기'를 하고 있으면 심사위원이 너를 붙여 주겠니. 어깨를 펴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야지' 하면서 자신감을 심어 주었다. '임마'와 '상판때기'는 일상생활에서 속되게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표기법상 올바르지 않다.

'인마' '상판대기'로 고쳐 써야 한다. '인마'는 '이놈아'가 줄어든 말로, '인마, 너나 잘해'처럼 쓰인다. 또 '상판대기'는 '얼굴'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상판'이라고도 한다. '그 인간을 알기는 아는데 나도 상판대기는 아직 못 봤다'처럼 쓸 수 있다. '귀때기, 볼때기'처럼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비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때기'가 있다.

이 말들은 '귀/볼+때기'로 구성되는데, '상판대기'는 '상(相)+판대기'로 분석된다. 여기서 '판대기'는 북한어에만 있고, 우리말 사전엔 '판때기'의 잘못으로 돼 있어 '상판대기'를 '상판때기'로 볼 수는 없는지 그 까닭이 궁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70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3
189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77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0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00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22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07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3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5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18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29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7
18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4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48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55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75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13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0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08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