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17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께, 쯤, 가량, 무렵, 경

시간·장소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거나 해당 시간 또는 장소 근처를 가리킬 때 '쯤''께''경''가량'과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정도'의 의미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이들 단어는 비슷하긴 하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다.

'쯤'은 '내일쯤''1억원쯤''어디쯤'과 같이 시간·공간은 물론 수량의 정도를 나타낸다. 이에 비해 '께'는 '시청께''4월께'처럼 시간이나 공간을 뜻하는 단어 뒤에서 특정한 장소나 시간에 가까운 범위를 가리킨다. '경(頃)'은 한자어로 '19세기경'처럼 시간이나 날짜를 의미하는 단어 뒤에만 쓰일 수 있다. '2시 무렵'의 '무렵'도 시간의 정도를 표시한다. 그러나 '경'이 '그 시간 또는 날짜에 가까운 때'를, '무렵'이 '대략 어떤 시기와 일치하는 즈음'의 뜻을 갖고 있어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한편 '가량'은 '한 달가량''50%가량'처럼 시간이나 수량의 정도를 뜻하지만 공간적인 의미는 갖고 있지 않다. '쯤'이 정도를 나타내는 대부분의 경우에 쓰일 수 있는 데 비해 '께'는 시간과 공간을, '경'과 '무렵'은 시간을, '가량'은 시간과 수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7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4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137
1896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393
189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94
1894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1893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404
1892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405
1891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405
1890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408
1889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1888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14
1887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415
1886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7
1885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18
1884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421
1883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1882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422
188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424
188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25
1879 마누라 風磬 2006.11.26 8427
1878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427
1877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28
1876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39
1875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