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45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다음 중 표준어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 잎 ㉡ 잎새 ㉢ 잎사귀 ㉣ 이파리 아마도 '잎사귀'나 '이파리'를 고른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답은 '잎새'다. '잎새'는 시나 노래, 문학작품 등에서 많이 쓰여 친숙한 말이지만 '잎사귀'의 충청도 방언이다. 방언은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 사투리를 뜻한다.

'잎사귀'는 낱낱의 잎, 그중에도 주로 넓적한 잎을 일컫는다. '감나무 잎사귀' '넓은 플라타너스 잎사귀' 등과 같이 쓰인다. '이파리'는 나무나 풀의 살아 있는 낱잎을 가리키며, '무성한 이파리' 등처럼 쓰일 때 잘 어울린다. 어감이 다르긴 하지만 '이파리'와 '잎사귀'가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잎새'가 워낙 널리 쓰이다 보니 방언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

윤동주의 '서시'에는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는 구절이 나온다. 오 헨리의 소설을 번역한 '마지막 잎새'도 있다. 이들 작품이 모두의 뇌리에 기억되는 만큼 '잎새'라는 말도 입에 뱄다. 하지만 표준어를 사용해야 하는 글에선 '잎' '잎사귀' '이파리' 중 하나를 골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35
2468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84
2467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582
2466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580
2465 날 뭘로 보고! 바람의종 2011.12.12 10580
2464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79
2463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578
2462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577
2461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69
2460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66
2459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564
2458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64
2457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63
2456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2
2455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560
2454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559
2453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58
2452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53
2451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550
2450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48
2449 다시방 바람의종 2010.08.05 10544
2448 꼽다시 바람의종 2010.01.08 10543
2447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