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6

'작' 띄어쓰기

조회 수 106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 띄어쓰기

'지을 작(作)'은 '사람 인(人)부'와 '사(乍)'가 합쳐진 글자다. 여기서 사는 도구를 의미한다. 즉 '작'은 글자 형태상 사람이 도구를 잡고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일이 일어나다' '만들다' '(농사를) 짓는다' '말하다'라는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작'은 '박찬욱 감독의 2004년 작인 '올드보이'는 한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서 손색없다'와 같이 문장에서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작'은 작자의 이름 뒤에, 붙어 작품·지음·제작·저자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황석영 작 『장길산』' '이육사 작인 청포도'처럼 사용된다. 또한 예문에서 든 것처럼 작자의 이름 뒤에, 해당 작품을 만든 연도 다음에 쓸 때도 띄어 써야 한다. 반면 '한국 영화의 대표작'의 '작'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작품·제작을 의미하는 접미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그는 데뷔작이 대표작이다'처럼 외래어 뒤에도 붙여 쓴다. 또한 '이모작, 평년작, 풍년작'과 같이 농업 등과 관련된 단어 뒤에 붙어 '농사, 작황'을 뜻하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85
1852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8007
185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6
1850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5
1849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61
1848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836
1847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283
1846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12
1845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556
1844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9
1843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6
184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49
1841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54
»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639
1839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9
1838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15
1837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605
1836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9
183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31
183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15
1833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3
1832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43
1831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51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