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6

'작' 띄어쓰기

조회 수 1058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 띄어쓰기

'지을 작(作)'은 '사람 인(人)부'와 '사(乍)'가 합쳐진 글자다. 여기서 사는 도구를 의미한다. 즉 '작'은 글자 형태상 사람이 도구를 잡고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일이 일어나다' '만들다' '(농사를) 짓는다' '말하다'라는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작'은 '박찬욱 감독의 2004년 작인 '올드보이'는 한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서 손색없다'와 같이 문장에서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작'은 작자의 이름 뒤에, 붙어 작품·지음·제작·저자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황석영 작 『장길산』' '이육사 작인 청포도'처럼 사용된다. 또한 예문에서 든 것처럼 작자의 이름 뒤에, 해당 작품을 만든 연도 다음에 쓸 때도 띄어 써야 한다. 반면 '한국 영화의 대표작'의 '작'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작품·제작을 의미하는 접미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그는 데뷔작이 대표작이다'처럼 외래어 뒤에도 붙여 쓴다. 또한 '이모작, 평년작, 풍년작'과 같이 농업 등과 관련된 단어 뒤에 붙어 '농사, 작황'을 뜻하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69
2446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72
244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570
2444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69
2443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61
2442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56
2441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56
2440 꼽다시 바람의종 2010.01.08 10555
2439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51
2438 다시방 바람의종 2010.08.05 10548
2437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48
2436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47
2435 맛빼기, 맛배기, 맛뵈기 바람의종 2009.08.07 10542
2434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40
2433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10.03.06 10539
2432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34
2431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34
2430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34
2429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32
2428 일본식 용어 - ㅅ 바람의종 2008.03.11 10531
2427 진, 데님 바람의종 2010.05.07 10525
2426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4
2425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