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6

'작' 띄어쓰기

조회 수 1058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 띄어쓰기

'지을 작(作)'은 '사람 인(人)부'와 '사(乍)'가 합쳐진 글자다. 여기서 사는 도구를 의미한다. 즉 '작'은 글자 형태상 사람이 도구를 잡고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일이 일어나다' '만들다' '(농사를) 짓는다' '말하다'라는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작'은 '박찬욱 감독의 2004년 작인 '올드보이'는 한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서 손색없다'와 같이 문장에서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작'은 작자의 이름 뒤에, 붙어 작품·지음·제작·저자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황석영 작 『장길산』' '이육사 작인 청포도'처럼 사용된다. 또한 예문에서 든 것처럼 작자의 이름 뒤에, 해당 작품을 만든 연도 다음에 쓸 때도 띄어 써야 한다. 반면 '한국 영화의 대표작'의 '작'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작품·제작을 의미하는 접미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그는 데뷔작이 대표작이다'처럼 외래어 뒤에도 붙여 쓴다. 또한 '이모작, 평년작, 풍년작'과 같이 농업 등과 관련된 단어 뒤에 붙어 '농사, 작황'을 뜻하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53
2468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90
2467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31
2466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8
2465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2464 영계(young鷄?) 바람의종 2010.07.20 10999
2463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42
2462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38
2461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66
2460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13
2459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85
2458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193
2457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8
2456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647
245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43
2454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7
2453 신병, 신변 바람의종 2010.07.18 10913
2452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03
2451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93
2450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34
2449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34
2448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56
2447 선례, 전례 바람의종 2010.07.17 12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