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7 07:34

맞장(맞짱)

조회 수 969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맞장(맞짱)

'맞장'이란 말이 마구 쓰이고 있다. 일부 계층에서나 쓰일 법한 말이 이젠 흔히 사용되고 있다. 영수회담을 두고도 야당에서 '대통령과 맞장을 뜨기에 부족함이 없었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다. '맞장 토론' '맞장 대결' 등 신문·TV에서도 '맞장'이란 표현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맞장'은 일대일로 맞붙어 한판 겨룬다는 의미의 비속어로, 선의의 경쟁이나 논리적 대결 같은 것은 아예 무시되고 그저 누가 이기나 몸으로 부닥쳐 싸운다는 의미가 배어 있다. 비속어이다 보니 정확한 표기도 없다.

'맞장' '맞짱' '맞장(맞짱)을 뜨다(트다)' '맞장(맞짱)을 까다' 등 아무렇게나 쓰이고 있다. 요즘은 통신언어와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비속어가 더욱 퍼져나가는 양상이다. '헐' '열라 짱나' '쌩까고 있네' '왜 말을 씹냐' 등 청소년들은 비속어 없이 대화를 못할 정도다.

이런 비속어는 우리말을 파괴할 뿐 아니라 용어 자체의 황량함으로 인해 우리 정신을 황폐화하는 것이다. 가정과 학교, 사회 모두가 나서야 할 때다. '맞장(맞짱)'이란 말부터 되도록 쓰지 말았으면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81
1852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45
1851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96
1850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6
1849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45
1848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16
1847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406
1846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59
184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96
1844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154
1843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57
1842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8
1841 보유고, 판매고, 수출고 바람의종 2010.10.14 8820
1840 보이콧 바람의종 2008.02.13 6218
1839 보전과 보존 바람의종 2010.11.25 17455
1838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03
1837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67
1836 복구 / 복원 바람의종 2012.07.02 7590
1835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93
1834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80
1833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8106
1832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298
1831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