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6 12:12

'데' 띄어쓰기

조회 수 116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데' 띄어쓰기

'없다'는 일부 단어와 결합해 '물샐틈없다, 간데온데없다, 쓸데없다, 올데갈데없다' 등과 같이 긴 단어를 만든다. 하지만 '데'가 '없다'와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쓸 데 있어' '올 데' '갈 데'처럼 띄어 써야 한다. '올/갈 데'의 '데'는 '곳'이나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다. '지난번에 갔던 데를 다시 갔다'처럼 쓰인다. 또한 '그 일을 끝마치는 데 한 달 걸렸다'와 같이 '데'가 '일'이나 '것'의 의미로 쓰이거나 '배 아픈 데 먹는 약'과 같이 '경우'를 나타낼 때도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배 아픈데 좀 쉬어라'의 '데'는 붙여 써야 한다. 여기서 '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제안하기 위해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알려 주는' 뜻의 연결어미인 'ㄴ데'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다' '공부하는데 전화가 왔다'의 '은데' '는데'도 붙여 써야 한다. '회사를 자주 결근하던데 집에 무슨 일이 있느냐'처럼 과거를 회상할 경우에도 '던데'로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01
1632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2
1631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53
1630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07
1629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489
1628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419
1627 부기와 붓기 바람의종 2010.05.18 11369
1626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76
1625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1
1624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94
1623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98
1622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39
1621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921
1620 볼장 다보다 바람의종 2008.01.13 19317
1619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06
1618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092
1617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89
1616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바람의종 2010.10.18 27082
1615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61
1614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00
1613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1612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54
1611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