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2 01:30

민초, 백성, 서민

조회 수 1160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민초, 백성, 서민

'군자의 덕은 바람이요, 소인의 덕은 풀이다. 풀 위로 바람이 불면 풀은 바람 부는 방향으로 따라 눕게 마련이다(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 必偃).' 공자가 한 말로 '논어(論語)'의 안연(顔淵)편에 나온다. 이와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일본에선 '풀(草)'과 '백성(民)'을 조합해 '민초(民草)'라는 말을 만들어 써 왔다. 백성을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잡초에 비유한 말이다.

이 '민초'란 말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흔히 쓰이고 있는데, 같은 한자어 문화권에서 일본인이 만든 것이라 해서 맹목적으로 거부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보는 사람이 있다. 그런가 하면 우리말에 남아 있는 일제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점에서 거부감을 느끼는 이도 많다. 국민·서민·평민 등과 같이 '초민(草民)'이라면 몰라도 거꾸로 된 '민초(民草)'는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보기도 한다.

어쨌든 백성·국민 등을 제쳐놓고 굳이 '민초'란 말을 쓸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다. 일본식 한자어이기도 하지만, 백성을 풀과 같이 하찮은 존재로 여기는 말인 것 같아 영 내키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02
2446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74
2445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823
2444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23
2443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34
2442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50
2441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78
2440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721
2439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49
2438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85
2437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30
2436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64
24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670
2434 네거티브 전략 바람의종 2010.04.17 11044
2433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11
2432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605
2431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325
2430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64
2429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96
2428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50
2427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90
2426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5
2425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