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2 01:27

'막' 띄어쓰기

조회 수 1164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 띄어쓰기

우리나라 술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막걸리는 농부들이 주로 마신다 하여 농주(農酒), 빛깔이 흐리다고 하여 탁주(濁酒)라고 불리며 백성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막걸리에서 보듯 우리말에서 '막'은 친근감을 주기도 하지만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의 의미를 부가하는 단어로도 쓰인다. 이 '막'은 '그는 막살던 생활습관에서 이제 막 벗어났다'처럼 동사 앞에서는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막 벗어났다'의 '막'은 '바로 지금'이나 '바로 그때'를 나타내는 부사로 띄어 써야 한다. '공항에 도착하니 비행기가 막 떠났다'처럼 쓰인다. 또한 '밀려오는 슬픔에 막 울었다'처럼 '몹시 세차게'를 뜻하는 '막'도 띄어 써야 한다. 이때 '막'은 '마구'의 준말이다.

반면 '막살다'의 '막'은 일부 동사에 붙어 '주저없이' '함부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붙여 써야 한다. '김 사장은 직원들을 막보고 무시했다' '막가는 말에 흥분했다'처럼 쓰인다. 또한 막소주·막국수·막노동처럼 명사 앞에서 '거친' '품질이 낮은' '닥치는 대로'를 뜻하는 '막'은 접두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34
2446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59
2445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3
244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35
2443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1
2442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634
2441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3
2440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580
2439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21
2438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63
2437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787
2436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09
2435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563
2434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23
2433 더위가 사그러들다 바람의종 2010.07.10 15069
2432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42
2431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583
2430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586
2429 쟁이, 장이 바람의종 2010.07.09 14802
2428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55
2427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02
2426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32
2425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5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