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1 01:35

야채 / 채소

조회 수 677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채 / 채소

상추·배추·쑥갓·오이·고추·양파-. 여러분은 이들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야채? 채소? '야채'라 부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야채'가 '채소'를 밀어내는 형국이다. '채소(菜蔬)'는 각각 나물을 뜻하는 '채(菜)'와 '소(蔬)'가 결합한 한자어다. '야채(野菜)'는 들을 뜻하는 '야(野)'와 '채'가 결합한 것으로, 결국은 '채소'와 마찬가지 뜻이다. 하지만 '야채'는 우리가 쓰지 않던 일본식 한자어다. 중국에서는 '소채'나 '채소'라는 말을 사용하고, 우리나라에선 주로 '채소'로 써 왔다. 일본에서도 '채소'라는 말을 썼다.

그러나 일본에선 '소(蔬)'가 상용한자에서 빠지면서 '채소'를 '야채(야사이·やさい)'로 바꿔 부르게 됐다. 일본만의 독특한 단어다. 물론 일본식 한자어인지 모르기 때문에 '야채'라 부르고 있고, 사전에도 버젓이 올라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써온 '채소'를 버리고 '야채'라는 말을 굳이 쓸 필요가 없다. 이 밖에도 우리말 속에 파고든 일본식 한자어나 일본말이 수없이 많다. 광복 60주년을 맞았건만 아직 그대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45
1808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99
1807 점심 바람의종 2010.08.17 8600
1806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600
180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604
1804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5
1803 누비다 風磬 2006.11.01 8607
1802 바람의종 2007.03.31 8607
1801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608
1800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8
1799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09
1798 넋두리 風磬 2006.10.30 8609
1797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09
1796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611
1795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16
1794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620
1793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620
179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623
1791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24
1790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24
1789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625
1788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25
1787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