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1 01:35

야채 / 채소

조회 수 677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채 / 채소

상추·배추·쑥갓·오이·고추·양파-. 여러분은 이들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야채? 채소? '야채'라 부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야채'가 '채소'를 밀어내는 형국이다. '채소(菜蔬)'는 각각 나물을 뜻하는 '채(菜)'와 '소(蔬)'가 결합한 한자어다. '야채(野菜)'는 들을 뜻하는 '야(野)'와 '채'가 결합한 것으로, 결국은 '채소'와 마찬가지 뜻이다. 하지만 '야채'는 우리가 쓰지 않던 일본식 한자어다. 중국에서는 '소채'나 '채소'라는 말을 사용하고, 우리나라에선 주로 '채소'로 써 왔다. 일본에서도 '채소'라는 말을 썼다.

그러나 일본에선 '소(蔬)'가 상용한자에서 빠지면서 '채소'를 '야채(야사이·やさい)'로 바꿔 부르게 됐다. 일본만의 독특한 단어다. 물론 일본식 한자어인지 모르기 때문에 '야채'라 부르고 있고, 사전에도 버젓이 올라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써온 '채소'를 버리고 '야채'라는 말을 굳이 쓸 필요가 없다. 이 밖에도 우리말 속에 파고든 일본식 한자어나 일본말이 수없이 많다. 광복 60주년을 맞았건만 아직 그대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9
2424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703
2423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602
2422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96
2421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804
242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118
2419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97
2418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674
2417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402
2416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694
2415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65
2414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49
2413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39
2412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966
2411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422
2410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7005
»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70
240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1
2407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808
2406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8.29 10817
2405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8103
2404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22
2403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200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