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1 01:35

야채 / 채소

조회 수 678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채 / 채소

상추·배추·쑥갓·오이·고추·양파-. 여러분은 이들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야채? 채소? '야채'라 부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야채'가 '채소'를 밀어내는 형국이다. '채소(菜蔬)'는 각각 나물을 뜻하는 '채(菜)'와 '소(蔬)'가 결합한 한자어다. '야채(野菜)'는 들을 뜻하는 '야(野)'와 '채'가 결합한 것으로, 결국은 '채소'와 마찬가지 뜻이다. 하지만 '야채'는 우리가 쓰지 않던 일본식 한자어다. 중국에서는 '소채'나 '채소'라는 말을 사용하고, 우리나라에선 주로 '채소'로 써 왔다. 일본에서도 '채소'라는 말을 썼다.

그러나 일본에선 '소(蔬)'가 상용한자에서 빠지면서 '채소'를 '야채(야사이·やさい)'로 바꿔 부르게 됐다. 일본만의 독특한 단어다. 물론 일본식 한자어인지 모르기 때문에 '야채'라 부르고 있고, 사전에도 버젓이 올라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써온 '채소'를 버리고 '야채'라는 말을 굳이 쓸 필요가 없다. 이 밖에도 우리말 속에 파고든 일본식 한자어나 일본말이 수없이 많다. 광복 60주년을 맞았건만 아직 그대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01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5046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543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9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714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60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836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497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76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537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76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903
»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87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65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906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46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7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438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19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839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533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73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