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1 01:32

"드리다"의 띄어쓰기

조회 수 1880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리다"의 띄어쓰기

우리말의 특징 중 하나는 높임말의 발달이다. 이는 과거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구조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자다와 주무시다, 있다와 계시다, 주다와 드리다 등 동일한 뜻의 단어도 예사말과 높임말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드리다의 경우 '아버지께 서신을 읽어 드리고 집안 사정을 말씀드렸다'와 같이 유사한 의미를 갖고 있으면서도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띄어 쓰는 '드리다'는 '물건 등을 남에게 건네어 가지거나 누리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로서 '할아버지께 용돈을 드리다'처럼 쓰인다. '일을 도와 드리다' '집을 사 드리다'와 같이 다른 사람을 위해 어떤 행동을 대신함을 나타내는 의미의 보조동사로 쓰인다. 두 경우는 모두 '주다'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집안 사정을 '말씀드리다', '기도드리다'는 붙여 써야 한다. 이때 '드리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공손한 행위'의 뜻을 더해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물론 '기도를 드리다, 말씀을 드리다'와 같이 쓸 수도 있다. 이때 '드리다'는 '윗사람을 높여 말이나 인사를 드리다'거나 '신에게 비는 일을 하다'라는 뜻의 동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25
3436 “사겨라” “바꼈어요” 風文 2024.05.31 38
3435 “산따” “고기떡” “왈렌끼” 風文 2024.05.31 81
3434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風文 2024.05.29 87
3433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112
3432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875
343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975
343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42
342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043
342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347
3427 갑질 風文 2024.03.27 2343
3426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2051
342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934
3424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2286
3423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245
342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2016
3421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2115
342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2047
3419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919
341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2088
341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2149
3416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983
3415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3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