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92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무더위가 한창인 요즘 냉면 못지않게 많이 찾는 음식이 메밀국수다. 하지만 음식점마다 '모밀국수' '메밀국수'로 달리 적혀 있어 헷갈린다. '모밀'은 '메밀'의 함경도 사투리이므로 '메밀국수'가 맞는 말이다.

메밀은 중국 명나라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조선시대 구황작물로 큰 몫을 했다고 한다. 주로 국수와 묵으로 만들어 먹었으며, 밀가루가 귀했던 당시에 국수 재료는 대부분 메밀이었다고 한다. 냉면 사리의 주재료도 메밀이다. 요즘은 식당에서 소위 '판메밀'이라는 것을 즐겨 먹는다. 대나무 발이나 나무 판 등에 올려놓은 메밀 사리를 장국(소스)에 찍어 먹는 형태로, '소바'라고도 많이 부른다.

'소바'(そば·蕎麥)는 메밀을 뜻하는 일본말이며 '소바키리'(そば切り), 즉 메밀국수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인다. '소바'는 회(사시미)와 더불어 일본의 전통음식이다. '모밀' '메밀'이 헷갈리면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생각하면 된다. '모밀국수' '소바' 모두 '메밀국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24
2094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07
2093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65
2092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4
2091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699
2090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41
2089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96
2088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12
2087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70
208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23
2085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7
208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57
2083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21
»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2
2081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0
208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38
2079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3
2078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29
2077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95
2076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76
2075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208
2074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26
2073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