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6 04:20

얇다, 가늘다

조회 수 1438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얇다, 가늘다

'백조같이 가늘고 기다란 목'. 프랑스의 시인 장 콕토가 핏기 없는 유령의 선(線)이라고 한 모딜리아니 초상화의 특징 중 하나다. 가느다란 목을 갸우뚱하게 뺀 단순화된 형태의 여인상은 우울한 정서와 더불어 관능적인 아름다움마저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목이나 허리, 팔뚝, 허벅지, 종아리 등을 묘사할 때 대개 '가늘다'거나 '굵다'고 한다. 간혹 "팔뚝이 얇다" "종아리가 두껍다" 등으로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일상적으로 '두껍다'와 '굵다', '얇다'와 '가늘다'를 혼동해 쓰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 단어는 의미상 약간의 차이가 있다.

두껍다는 "다소 도톰하고 두꺼운 입술이 그의 매력이다"처럼 '물체의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는 뜻으로 주로 쓰이고, 굵다는 "손마디가 굵어 반지가 잘 들어가지 않는다"처럼 '길쭉한 물체의 둘레나 너비가 넓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는 각각 '얇다'(책이 얇다)와 '가늘다'(머리카락이 가늘다)로 써야 한다. 따라서 "허리가 얇다" "목이 두껍다"는 표현보다 "허리가 가늘다" "목이 굵다"고 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4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182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14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84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66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98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60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86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51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11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5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9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50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6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701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77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11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73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553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15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94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9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