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6 04:20

얇다, 가늘다

조회 수 1442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얇다, 가늘다

'백조같이 가늘고 기다란 목'. 프랑스의 시인 장 콕토가 핏기 없는 유령의 선(線)이라고 한 모딜리아니 초상화의 특징 중 하나다. 가느다란 목을 갸우뚱하게 뺀 단순화된 형태의 여인상은 우울한 정서와 더불어 관능적인 아름다움마저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목이나 허리, 팔뚝, 허벅지, 종아리 등을 묘사할 때 대개 '가늘다'거나 '굵다'고 한다. 간혹 "팔뚝이 얇다" "종아리가 두껍다" 등으로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일상적으로 '두껍다'와 '굵다', '얇다'와 '가늘다'를 혼동해 쓰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 단어는 의미상 약간의 차이가 있다.

두껍다는 "다소 도톰하고 두꺼운 입술이 그의 매력이다"처럼 '물체의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는 뜻으로 주로 쓰이고, 굵다는 "손마디가 굵어 반지가 잘 들어가지 않는다"처럼 '길쭉한 물체의 둘레나 너비가 넓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는 각각 '얇다'(책이 얇다)와 '가늘다'(머리카락이 가늘다)로 써야 한다. 따라서 "허리가 얇다" "목이 두껍다"는 표현보다 "허리가 가늘다" "목이 굵다"고 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78
3194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649
3193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652
3192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53
319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53
3190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54
3189 ○○노조 風文 2022.12.26 1655
3188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56
3187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59
318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64
3185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66
318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669
3183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72
3182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74
318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678
3180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80
317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80
3178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85
317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85
317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685
3175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685
317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88
3173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