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23

우통 벗고 등물

조회 수 1028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통 벗고 등물

매미 소리와 더불어 짙어가는 나무 아래 서면 장욱진이 떠오른다. 장욱진은 여름을 즐겨 그린 화가다. 잎이 풍성한 나무엔 새들이 노닐고, 원두막엔 금방 '등물'이라도 한 듯 '우통'을 벗어던진 순박한 얼굴들이 웃고 있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지만 세상 부러울 게 없는 풍경이다.

무더운 여름철 땀이 쏟아질 때 팔다리를 뻗고 엎드린 자세로 허리 위부터 목까지 물을 끼얹어 씻는 것을 '등물하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허리 윗부분이나 위에 입는 옷을 가리키는 '웃통'도 '우통, 윗통'으로 써서는 안 된다. 아래위 대립이 없는 몇몇 단어 앞에서 '위'의 뜻을 더할 때는 '웃-'을, 아래위 대립관계가 성립할 때는 '윗(위)-'을 붙여 쓰는 게 원칙이다.

아래통과 대비되는 위통은 "두루마기의 위통 품이 좁다"처럼 물건의 위가 되는 부분을 일컫는 것이며, 사람의 몸이나 사람이 입는 옷과 관련된 것은 웃통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전엔 우물가에서 웃통을 벗고 등목을 하거나 나무 그늘 밑에서 부채질을 하는 게 시골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피서법이었다"처럼 '웃통''등목(목물)' 이라고 써야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96
1082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0
1081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52
1080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8
1079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59
1078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365
1077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72
1076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80
1075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074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8
1073 예산 타령 바람의종 2010.10.16 10389
1072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94
1071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396
1070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99
1069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5
1068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07
1067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0
1066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414
1065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414
1064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415
1063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18
106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420
1061 말짱 황이다 바람의종 2008.02.23 104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