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23

우통 벗고 등물

조회 수 1026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통 벗고 등물

매미 소리와 더불어 짙어가는 나무 아래 서면 장욱진이 떠오른다. 장욱진은 여름을 즐겨 그린 화가다. 잎이 풍성한 나무엔 새들이 노닐고, 원두막엔 금방 '등물'이라도 한 듯 '우통'을 벗어던진 순박한 얼굴들이 웃고 있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지만 세상 부러울 게 없는 풍경이다.

무더운 여름철 땀이 쏟아질 때 팔다리를 뻗고 엎드린 자세로 허리 위부터 목까지 물을 끼얹어 씻는 것을 '등물하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허리 윗부분이나 위에 입는 옷을 가리키는 '웃통'도 '우통, 윗통'으로 써서는 안 된다. 아래위 대립이 없는 몇몇 단어 앞에서 '위'의 뜻을 더할 때는 '웃-'을, 아래위 대립관계가 성립할 때는 '윗(위)-'을 붙여 쓰는 게 원칙이다.

아래통과 대비되는 위통은 "두루마기의 위통 품이 좁다"처럼 물건의 위가 되는 부분을 일컫는 것이며, 사람의 몸이나 사람이 입는 옷과 관련된 것은 웃통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전엔 우물가에서 웃통을 벗고 등목을 하거나 나무 그늘 밑에서 부채질을 하는 게 시골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피서법이었다"처럼 '웃통''등목(목물)' 이라고 써야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49
176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27
1763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1762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80
1761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22
1760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0
1759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22
1758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773
1757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13
1756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25
1755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2
1754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2
1753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33
»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2
1751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04
1750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896
1749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28
1748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66
1747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675
1746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26
1745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31
1744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31
1743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