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21

발자욱, 발자국

조회 수 1211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자욱, 발자국

장마도 주춤하고 삼복더위 속에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됐다. 이맘때면 떠오르는 노래가 1960년대 키보이스가 부른 '해변으로 가요'다.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 젊음이 넘치는 해변으로 가요/ 달콤한 사랑을 속삭여줘요…/ 불타는 그 입술 처음으로 느꼈네/ 사랑의 발자욱 끝없이 남기며….' 아름다운 노랫말과 신나는 리듬이 당장이라도 바다로 달려가고 싶게 만든다. 그러나 이 노래는 가사가 친숙한 만큼 '발자국'을 '발자욱'으로 잘못 쓰게 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사랑의 발자욱'에서 '발자욱'은 '발자국'의 잘못이다. '시적 허용'이라 말할지 모르나 잘못된 가사는 일반인으로 하여금 그것을 바른 표기로 받아들이게 한다. 친근함 때문이다. 노래 제목만 해도 '첫 발자욱' '하얀 발자욱' '슬픈 발자욱' 등 '발자욱'이 수없이 많다. 흔적을 뜻하는 '자욱' 자체가 '자국'의 잘못이다. '핏자욱'도 '핏자국'이 맞는 말이다. 노랫말도 가능하면 표준어를 써야 한다. '사랑의 발자욱'을 '사랑의 발자국'으로 바꿔도 맛이 그리 떨어지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70
2908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59
2907 내부치다, 내붙이다 바람의종 2010.11.05 12254
2906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252
2905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51
2904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50
2903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36
2902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232
2901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3
2900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18
289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18
2898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216
289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15
2896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15
2895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203
2894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94
2893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188
2892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168
2891 선소리 바람의종 2010.11.21 12168
2890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65
2889 외래어 / 외국어 바람의종 2012.02.28 12155
2888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50
288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