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3 02:45

할 게, 할게

조회 수 987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할 게, 할게

유길준이 19세기 말 '서유견문록' 서문에서 언문일치(言文一致)를 처음 주장한 이래 20세기 초 일기 시작한 언문일치 운동 등의 영향으로 현재는 입말·글말이 별다른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아직도 말할 때와 글을 쓸 때 약간의 차이는 있다. '너와 나'는 '너랑 나랑' '너하고 나하고'로, '이것 저것'은 '이거 저거'로 흔히 말하는 등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는 미미하지만 아직도 살아있다.

이러한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는 '내가 할 게 무엇인지 몰라도 천천히 할게'에서처럼 때때로 띄어쓰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내가 할 게'의 '게'는 '것'을 구어체적으로 표현한 '거'와 '이'가 결합한 형태로, '것이'의 준말이다. '내일 할 게 뭐지' '지금 먹고 있는 게 맛있니'처럼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천천히 할게'와 같이 쓰이는 'ㄹ게'나 '을게'는 '어떤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로, 붙여 써야 한다. '이따가 다시 올게' '내일 갈게' '내가 할게'처럼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18
176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21
1763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25
1762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64
176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8
1760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57
1759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35
1758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8
1757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75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8
1755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23
1754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175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48
1752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70
1751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98
1750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82
1749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823
174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31
1747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46
17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42
174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4
1744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89
1743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