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2 03:49

사날, 나달

조회 수 664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날, 나달

'그는 보통 사람이라면 사날 걸릴 일을 하루 만에 해치웠다.' '나달이면 할 수 있는 일을 이레나 걸려서야 되겠느냐.' 예문에서 '사날/ 나달'이 무슨 뜻인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오자가 났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날/ 나달'은 '사흘이나 나흘/ 나흘이나 닷새'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날짜를 세는 순 우리말에는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이 있다. 그런데 요즘엔 사람들이 아라비아숫자에 익숙하다 보니 대부분 날을 세는 한자어 단위 '일(日)' 앞에 '1, 2, 3…' 등을 붙여 쓴다. 이 경우 '사날'은 '3~4일', '나달'은 '4~5일'이 된다.

간혹 한자어 숫자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일일(一日)'을 제외하곤 '이 일, 삼 일…'처럼 띄어 써야 한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두 날짜를 합해 이르는 말로 '이삼일, 삼사일(사나흘, 사날), 사오일(나달), 오륙일(대엿새), 육칠일(예니레), 팔구일, 구십일'이 있다. 그런데 '일이일, 칠팔일'은 빠져 있어 그 이규가 궁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04
176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20
1763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17
1762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57
176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1
1760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23
1759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26
1758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757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175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7
1755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03
1754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175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3
1752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8
1751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69
1750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69
1749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94
174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12
1747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36
17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02
174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1744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46
1743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