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2 03:49

사날, 나달

조회 수 665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날, 나달

'그는 보통 사람이라면 사날 걸릴 일을 하루 만에 해치웠다.' '나달이면 할 수 있는 일을 이레나 걸려서야 되겠느냐.' 예문에서 '사날/ 나달'이 무슨 뜻인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오자가 났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날/ 나달'은 '사흘이나 나흘/ 나흘이나 닷새'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날짜를 세는 순 우리말에는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이 있다. 그런데 요즘엔 사람들이 아라비아숫자에 익숙하다 보니 대부분 날을 세는 한자어 단위 '일(日)' 앞에 '1, 2, 3…' 등을 붙여 쓴다. 이 경우 '사날'은 '3~4일', '나달'은 '4~5일'이 된다.

간혹 한자어 숫자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일일(一日)'을 제외하곤 '이 일, 삼 일…'처럼 띄어 써야 한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두 날짜를 합해 이르는 말로 '이삼일, 삼사일(사나흘, 사날), 사오일(나달), 오륙일(대엿새), 육칠일(예니레), 팔구일, 구십일'이 있다. 그런데 '일이일, 칠팔일'은 빠져 있어 그 이규가 궁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61
176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70
1763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6
1762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503
1761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417
1760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43
1759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54
1758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811
1757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9
1756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60
1755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62
1754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65
1753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7
1752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87
1751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35
1750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918
1749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6
1748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96
1747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86
1746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45
1745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4
1744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69
»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