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9 04:29

사체, 시체

조회 수 905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체, 시체

조선 후기 연쇄 살인사건을 다룬 영화 '혈의 누'는 당시 군관의 수사과정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검시를 위해 시체를 그리고, 상처의 치수를 재고, 사후 반점으로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모습은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요즘도 "죽은 사람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부검을 꺼리는데 그 시대에 시체를 해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의식은 시체와 사체의 단어 사용에서도 잘 드러난다.

'시체(屍體)'는 사람의 죽은 몸을, '사체(死體)'는 동물의 죽은 몸뚱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체로 구분해 쓴다. 그러나 사전적 의미로는 시체나 사체 모두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본에서 들어온 사체란 말을 되도록 쓰지 말자는 것이다. 일본에선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어려운 한자는 뜻이 비슷하고 발음이 같은 다른 한자로 대체해 낱말을 만들기도 한다. 사체도 '주검 시(屍)'와 '죽을 사(死)'의 일본어 발음이 '시'로 같아 '屍' 대신 쉬운 한자인 '死'로 바꿔 '死體'라고 쓴 것이다. 따라서 시체ㆍ주검ㆍ시신 등으로 순화해 쓰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42
1566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49
1565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54
1564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57
»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57
1562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1561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62
1560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63
1559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64
1558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66
1557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73
1556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79
1555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086
1554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0
155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91
1552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4
1551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094
1550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96
1549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096
1548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97
1547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098
1546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099
1545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