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6 21:43

봉우리, 봉오리

조회 수 1076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봉우리, 봉오리

"사람이 그리운 날, 사람을 멀리하고 산에 오른다." 상처 난 마음을 깁는 방법으로 임영조 시인은 산행을 권한다. 계곡을 타고 흐르는 물소리와 산허리를 휘감은 꽃봉오리에 마음의 결을 쓰다듬으며 오른 산봉우리. 그곳엔 엉킨 마음의 올을 풀어 주는 바람이 기다리고 있다. 산이 주는 행복이다. "우리는 이 산봉오리에서 저 산봉오리로 능선을 따라 걸었고, 나비들은 이 꽃봉우리에서 저 꽃봉우리로 철쭉을 따라 날아다녔다"처럼 '산봉우리'와 '꽃봉오리'를 잘못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봉우리'와 같은 말인 '산봉우리'는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을 말한다. '꽃봉오리'는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않은 꽃을 가리키는 것으로 '봉오리, 몽우리, 꽃망울'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꽃봉우리가 맺히다(터지다)' '산봉오리에 오르다'처럼 써서는 안 된다. 자칫 잘못하다간 꽃망울에 오르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봉(峯)을 이를 땐 '산봉우리', 꽃망울을 말할 땐 '꽃봉오리'라고 해야 한다. 한 떨기 꽃봉오리처럼 향기 나는 글쓰기는 기초적인 맞춤법을 지켜나가는 것에서 시작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49
2380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65
2379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4
2378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701
237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2376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73
2375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10
2374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79
2373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21
2372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9
2371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39
2370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58
236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2368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644
2367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1
2366 누리꾼,누리집,누리망 바람의종 2010.05.18 12437
2365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58
2364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26
2363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752
2362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60
2361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36
2360 웨하스 바람의종 2010.05.29 10835
2359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