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4 02:55

유월과 오뉴월

조회 수 716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월과 오뉴월

봄이 왔나 싶더니 어느덧 여름의 문턱인 유월이다. 때 이른 더위로 벌써 한낮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곳도 있다. '오뉴월 더위에는 염소 뿔이 물러 빠진다'는 오뉴월(음력)은 아직 아니지만 여름이 점점 쉬 찾아오는 듯하다. '오뉴월'은 오월과 유월을 뜻하며, 여름 한철을 일컫는 말이다. 6월을 일월·삼월처럼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자어는 본음으로도, 속음으로도 발음한다. 속음은 본음과 달리 일반 사회에서 널리 쓰는 음을 뜻한다. 육월(六月)을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십월(十月)을 '시월'로, 초팔일(初八日)을 '초파일'로 읽는 것이 대표적이다. 보리(菩提), 보시(布施), 도량(道場: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도 본음과 달리 소리 나는 것들이다. 이 밖에도 목재(木材)/모과(木瓜), 분노(憤怒)/희로애락(喜怒哀樂)처럼 같은 한자어이지만 달리 읽히는 것이 많다.

맞춤법은 속음으로 읽히는 것은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어 반드시 유월, 오뉴월, 시월, 초파일 등으로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78
2380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60
2379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84
2378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664
237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2376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73
2375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02
2374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5
2373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19
2372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2
2371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12
2370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53
236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2368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642
2367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17
2366 누리꾼,누리집,누리망 바람의종 2010.05.18 12437
2365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53
2364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23
2363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726
2362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43
2361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25
2360 웨하스 바람의종 2010.05.29 10835
2359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