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8 11:05

세 돈 금반지

조회 수 876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 돈 금반지

"가장 감동적인 것은 황금빛 찬란한 관 주변에 놓인 수레국화였다." 최근 단층촬영을 통해 미소년의 모습을 드러낸 투탕카멘을 처음 발견한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는 당시 140여kg의 황금관보다 왕비가 남편에게 바친 한 아름의 꽃다발에 눈길이 갔다고 회고했다. "세 돈짜리 금반지보다 너의 마음이 담긴 꽃반지가 좋아"라는 연인의 고백처럼 훈훈한 미소를 주는 이야기다.

이처럼 귀금속을 셀 때 '세 돈, 석 돈, 서 돈' 등 사람마다 '돈' 앞에 쓰는 말이 제각각이다. 치수를 재는 단위인 '자'도 '네 자, 넉 자' 등으로 혼용해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세 돈'이나 '네 자'라고 해서는 안 된다. 전통적인 수량 단위와 '세/네, 석/넉, 서/너' 등이 결합할 때는 특정 단어끼리 짝을 이루기 때문이다.

'서/너'를 잘 쓰지 않는 옛 말투로 생각해 '세/네'나 '석/넉'으로 고쳐 쓰기도 하나 이 또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다. '돈, 말, 발, 푼' 앞에선 '서/너'를, '냥, 되, 섬, 자' 앞에선 '석/넉'을 쓰도록 규정돼 있다.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꾸는 연금술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이러한 작은 원칙부터 지켜나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43
1940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1939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73
1938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66
1937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8
1936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01
1935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1
1934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6
1933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34
1932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7
1931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5
1930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16
1929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1928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24
1927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8
1926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8
1925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1924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1923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54
1922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52
1921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38
1920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11
1919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