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8 11:05

세 돈 금반지

조회 수 877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 돈 금반지

"가장 감동적인 것은 황금빛 찬란한 관 주변에 놓인 수레국화였다." 최근 단층촬영을 통해 미소년의 모습을 드러낸 투탕카멘을 처음 발견한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는 당시 140여kg의 황금관보다 왕비가 남편에게 바친 한 아름의 꽃다발에 눈길이 갔다고 회고했다. "세 돈짜리 금반지보다 너의 마음이 담긴 꽃반지가 좋아"라는 연인의 고백처럼 훈훈한 미소를 주는 이야기다.

이처럼 귀금속을 셀 때 '세 돈, 석 돈, 서 돈' 등 사람마다 '돈' 앞에 쓰는 말이 제각각이다. 치수를 재는 단위인 '자'도 '네 자, 넉 자' 등으로 혼용해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세 돈'이나 '네 자'라고 해서는 안 된다. 전통적인 수량 단위와 '세/네, 석/넉, 서/너' 등이 결합할 때는 특정 단어끼리 짝을 이루기 때문이다.

'서/너'를 잘 쓰지 않는 옛 말투로 생각해 '세/네'나 '석/넉'으로 고쳐 쓰기도 하나 이 또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다. '돈, 말, 발, 푼' 앞에선 '서/너'를, '냥, 되, 섬, 자' 앞에선 '석/넉'을 쓰도록 규정돼 있다.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꾸는 연금술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이러한 작은 원칙부터 지켜나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9
110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88
1103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649
110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447
1101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70
1100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89
109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48
109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9
10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77
10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2
1095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02
1094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7
1093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39
1092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57
109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72
1090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76
108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88
108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202
1087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6
108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5
10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36
1084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45
1083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