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8 11:05

세 돈 금반지

조회 수 874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 돈 금반지

"가장 감동적인 것은 황금빛 찬란한 관 주변에 놓인 수레국화였다." 최근 단층촬영을 통해 미소년의 모습을 드러낸 투탕카멘을 처음 발견한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는 당시 140여kg의 황금관보다 왕비가 남편에게 바친 한 아름의 꽃다발에 눈길이 갔다고 회고했다. "세 돈짜리 금반지보다 너의 마음이 담긴 꽃반지가 좋아"라는 연인의 고백처럼 훈훈한 미소를 주는 이야기다.

이처럼 귀금속을 셀 때 '세 돈, 석 돈, 서 돈' 등 사람마다 '돈' 앞에 쓰는 말이 제각각이다. 치수를 재는 단위인 '자'도 '네 자, 넉 자' 등으로 혼용해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세 돈'이나 '네 자'라고 해서는 안 된다. 전통적인 수량 단위와 '세/네, 석/넉, 서/너' 등이 결합할 때는 특정 단어끼리 짝을 이루기 때문이다.

'서/너'를 잘 쓰지 않는 옛 말투로 생각해 '세/네'나 '석/넉'으로 고쳐 쓰기도 하나 이 또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다. '돈, 말, 발, 푼' 앞에선 '서/너'를, '냥, 되, 섬, 자' 앞에선 '석/넉'을 쓰도록 규정돼 있다.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꾸는 연금술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이러한 작은 원칙부터 지켜나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92
1104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55
1103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496
1102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084
1101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18
110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10
1099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72
1098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1
1097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58
1096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55
1095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69
1094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7
1093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47
1092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647
1091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1090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62
1089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199
1088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333
1087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789
1086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1
1085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14
1084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2
1083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