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64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비 개인 5월 아침/혼란스런 꾀꼬리 소리/찬엄(燦嚴)한 햇살 퍼져 오릅내다'-. 김영랑의 아름다운 시들이다. '햇살' '햇발'로 고운 봄과 이맘때의 눈부신 5월을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말은 해가 비치는 현상을 가지고도 '햇빛' '햇볕' '햇살' '햇발' 등으로 다양하고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햇빛'은 밝게 해 주는 빛,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햇살'은 해가 내쏘는 광선, '햇발'은 사방으로 뻗친 햇살을 일컫는다.

*마침내 [햇빛(○), 햇볕(×)]을 보다 *따사로운 [햇빛(×), 햇볕(○)]을 쬐다 *눈부신 [햇살(○), 햇빛(×)]이 비치다 *따가운 [햇빛(×), 햇볕(○)]이 쏟아지다 등처럼 달리 쓰인다.

이와 같이 우리말은 어휘가 다양하고 정교하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다. 이들 낱말을 제대로 가려 써야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고 우리말의 풍부한 표현력을 살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0
1764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5
1763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7
176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3
176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6
1760 사리 바람의종 2010.08.26 10954
1759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44
1758 사리 風磬 2006.12.26 8575
1757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788
1756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21
175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84
1754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62
1753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213
1752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68
1751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80
1750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0973
1749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11
1748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07
1747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83
174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00
1745 사또 風磬 2006.12.26 7111
1744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71
1743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