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66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비 개인 5월 아침/혼란스런 꾀꼬리 소리/찬엄(燦嚴)한 햇살 퍼져 오릅내다'-. 김영랑의 아름다운 시들이다. '햇살' '햇발'로 고운 봄과 이맘때의 눈부신 5월을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말은 해가 비치는 현상을 가지고도 '햇빛' '햇볕' '햇살' '햇발' 등으로 다양하고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햇빛'은 밝게 해 주는 빛,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햇살'은 해가 내쏘는 광선, '햇발'은 사방으로 뻗친 햇살을 일컫는다.

*마침내 [햇빛(○), 햇볕(×)]을 보다 *따사로운 [햇빛(×), 햇볕(○)]을 쬐다 *눈부신 [햇살(○), 햇빛(×)]이 비치다 *따가운 [햇빛(×), 햇볕(○)]이 쏟아지다 등처럼 달리 쓰인다.

이와 같이 우리말은 어휘가 다양하고 정교하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다. 이들 낱말을 제대로 가려 써야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고 우리말의 풍부한 표현력을 살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47
110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11
1103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65
110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72
1101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25
1100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61
109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35
109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3
10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0
10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0
1095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88
1094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7
1093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29
1092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109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64
1090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41
108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88
108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53
1087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3
108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10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29
1084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1083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