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72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비 개인 5월 아침/혼란스런 꾀꼬리 소리/찬엄(燦嚴)한 햇살 퍼져 오릅내다'-. 김영랑의 아름다운 시들이다. '햇살' '햇발'로 고운 봄과 이맘때의 눈부신 5월을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말은 해가 비치는 현상을 가지고도 '햇빛' '햇볕' '햇살' '햇발' 등으로 다양하고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햇빛'은 밝게 해 주는 빛,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햇살'은 해가 내쏘는 광선, '햇발'은 사방으로 뻗친 햇살을 일컫는다.

*마침내 [햇빛(○), 햇볕(×)]을 보다 *따사로운 [햇빛(×), 햇볕(○)]을 쬐다 *눈부신 [햇살(○), 햇빛(×)]이 비치다 *따가운 [햇빛(×), 햇볕(○)]이 쏟아지다 등처럼 달리 쓰인다.

이와 같이 우리말은 어휘가 다양하고 정교하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다. 이들 낱말을 제대로 가려 써야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고 우리말의 풍부한 표현력을 살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78
1104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5
1103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67
1102 날으는, 시들은, 찌들은, 녹슬은 바람의종 2009.07.10 8076
110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888
1100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83
1099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71
1098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37
1097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59
1096 따블 백 바람의종 2009.07.14 8075
1095 담배 이름 바람의종 2009.07.15 10247
109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39
1093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75
1092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73
1091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38
1090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62
1089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40
1088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84
»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721
1086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90
1085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50
1084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85
1083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