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2:00

졸립다 / 졸리다

조회 수 953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졸립다 / 졸리다

살랑살랑 봄바람을 타고 나른한 졸음이 밀려든다. 물기를 가득 머금은 스펀지처럼 눈꺼풀이 축축 늘어지는 계절이다. 우리 몸 중 가장 무거운 부위는 졸릴 때의 눈꺼풀이란 말이 우스갯소리 같지만은 않다. 풋잠이든 선잠이든 말뚝잠이든 낮잠 한숨이 그립다. 봄과 함께 찾아오는 손님, 춘곤증-. 이맘때 입버릇처럼 쏟아내는 말이 "아~ 졸립다"이다. "요즘은 시도 때도 없이 졸립고 피곤하다" 등처럼 일상생활에서 '졸립다'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한다.

그러나 이는 틀린 말이다. '자고 싶은 느낌이 들다'라는 뜻으로 쓰려면 '졸리다'라고 해야 맞다. 활용형도 '졸리워, 졸리운, 졸립고'가 아니라 '졸려, 졸린, 졸리고' 등으로 쓴다. 형용사 '놀랍다' '그립다'가 동사 '놀라다' '그리다'와 별개로 쓰이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졸립다'도 '졸리다'의 형용사로 허용할 만한데 사전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춘곤증이 새로운 계절의 변화에 생체 시계를 맞추는 계절적 현상이듯 언어도 시대에 따라 유연한 규범 정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은 몽롱한 졸음 속에서라도 '졸립다'라고 써서는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49
288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669
2885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18
2884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38
2883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831
2882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190
2881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189
288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45
2879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078
2878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916
2877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17
287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09
287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7994
287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230
2873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04
2872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329
2871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41
2870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24
2869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542
286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18
286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36
286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875
2865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