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2:00

졸립다 / 졸리다

조회 수 959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졸립다 / 졸리다

살랑살랑 봄바람을 타고 나른한 졸음이 밀려든다. 물기를 가득 머금은 스펀지처럼 눈꺼풀이 축축 늘어지는 계절이다. 우리 몸 중 가장 무거운 부위는 졸릴 때의 눈꺼풀이란 말이 우스갯소리 같지만은 않다. 풋잠이든 선잠이든 말뚝잠이든 낮잠 한숨이 그립다. 봄과 함께 찾아오는 손님, 춘곤증-. 이맘때 입버릇처럼 쏟아내는 말이 "아~ 졸립다"이다. "요즘은 시도 때도 없이 졸립고 피곤하다" 등처럼 일상생활에서 '졸립다'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한다.

그러나 이는 틀린 말이다. '자고 싶은 느낌이 들다'라는 뜻으로 쓰려면 '졸리다'라고 해야 맞다. 활용형도 '졸리워, 졸리운, 졸립고'가 아니라 '졸려, 졸린, 졸리고' 등으로 쓴다. 형용사 '놀랍다' '그립다'가 동사 '놀라다' '그리다'와 별개로 쓰이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졸립다'도 '졸리다'의 형용사로 허용할 만한데 사전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춘곤증이 새로운 계절의 변화에 생체 시계를 맞추는 계절적 현상이듯 언어도 시대에 따라 유연한 규범 정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은 몽롱한 졸음 속에서라도 '졸립다'라고 써서는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0
2094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73
2093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671
2092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69
2091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68
2090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67
2089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66
208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65
2087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9
2086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4
2085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52
2084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650
2083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50
2082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48
2081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648
2080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47
2079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45
2078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42
207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639
2076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639
2075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637
2074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7
2073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6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