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1:58

우리 민족, 우리나라

조회 수 903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민족, 우리나라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규정대로 단어마다 띄어 쓴다면 띄어쓰기는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밤중'과 '생각중', '우리글'과 '우리민족'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 '한밤중'과 '우리글'은 붙여 쓰고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띄어 써야 한다. '한밤중'은 한밤과 중이 합쳐져 깊은 밤을, '우리글'은 우리와 글이 합쳐져 한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이다. 반면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두 개의 단어가 나열돼 있는 구로 보아 띄어 쓴다.

이렇듯 복합어 문제는 때로 띄어쓰기의 원초적 단위인 단어의 기준조차 모호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다고 띄어쓰기의 어려움이 한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글의 특징 중 하나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능력이다. 손과 가락이 합쳐져 '손가락'이 되고 눈과 물이 결합해 '눈물'이 된다. 복합어의 띄어쓰기가 어렵긴 하나 우리글의 뛰어난 조어 능력에 수반된 사소한 번거로움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67
1126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521
1125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88
1124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801
1123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1122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94
1121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725
1120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417
1119 진, 데님 바람의종 2010.05.07 10561
1118 ‘-어하다’ 바람의종 2010.05.07 10972
1117 빈털털이, 빈털터리 바람의종 2010.05.07 14730
1116 쿨 비즈 바람의종 2010.05.07 10813
1115 장애의 올바른 용어 바람의종 2010.05.07 11261
1114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55
111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62
1112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0
1111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716
1110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841
1109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505
1108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10
1107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07
1106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77
1105 애끓다, 애끊다 바람의종 2010.05.09 111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